검찰청 해체 앞두고 범죄 수사 혼란 가중

한국의 주요 범죄 수사 능력이 검찰청 해체를 앞두고 급격히 약화되고 있다. 특수검 팀에 파견된 검사들과 사직한 인력으로 인해 일부 부서 인력이 반토막 났으며, 지역 사무소에서도 전담 인력이 3분의 1 줄었다. 민주당의 개혁 법안 통과에도 불구하고 세부 사항이 미정인 상황에서 수사 공백이 이미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검찰 수사 역량이 검찰청 해체를 앞두고 크게 약화되고 있다. 최근 114명의 검사들이 세 개의 특수검 팀에 파견됐으며, 146명은 검찰청 공식 해체를 앞두고 사직했다. 서울남부지방검찰청의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는 1년 전 8명이었던 인력이 현재 4명으로 줄었다. 11개 지역 사무소의 중대범죄 전담 인력도 약 3분의 1 감소했다. 남은 검사들은 국회에서 통과된 검찰청 폐지 법안 이후 혼란이 커지고 있다고 보고한다.

민주당(DP)은 지난달 말 이 법안을 서둘러 통과시켰으며, 이를 '검찰 개혁'의 승리로 내세웠다. 개정법에 따라 검찰청은 내년 10월까지 해체되고, 기소 책임의 검찰청과 수사 책임의 중대범죄수사기관으로 나뉜다. 그러나 중대범죄수사기관의 규모와 범위 등 핵심 세부 사항은 여전히 undecided 상태다. 전환까지 1년 남았지만, 이미 중대 범죄 수사에 공백이 뚜렷하다.

특수검의 장기화가 인력 부족을 가중시켰다. 파견된 114명은 수원지방검찰청 전체 인력 규모와 맞먹는다. 일부 지검은 중간급 검사 부재로 주니어 또는 시니어 검사만 남아 있다. 검찰청 해체 후 경찰 수사권이 확대되면, 신규 검찰청의 보완수사권 여부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

10월 27일 국회 감사에서 서울중앙지방검찰청 검사 안미현은 "개혁을 지지하지만, 검사의 보완수사권 제거는 실무적 문제를 일으킬 것이며, 의원들이 그 책임을 져야 한다"고 경고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에 강하게 반발했다. 민주당은 개혁을 강행하기보다 안미현 같은 실무자 의견을 경청해야 한다. 범죄 수사 혼란은 궁극적으로 국민에게 해를 끼칠 것이다.

이 웹사이트는 쿠키를 사용합니다

당사는 사이트 개선을 위해 분석용 쿠키를 사용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참조하세요.
거부